본문 바로가기

앱테크 퀴즈정답
2025-06-30

캐시닥 용돈퀴즈

LG전자 베스트샵 퀴즈

정답: 400

컷슬린 퀴즈

정답: 여행

다른 정답: 롤러, 끈적임

리비힐 앰플 퀴즈

정답: 안티에이징

다른 정답: 49000, 색소침착

빼소 퀴즈

정답: 한알

관절스타 퀴즈

정답: 관절건강

다른 정답: 7, 777, 2527

리비힐 크림 퀴즈

정답: 고영양

다른 정답: 트러블, 줄기세포

롯데온 랑콤 퀴즈

정답: 엑스퍼트

오퀴즈

오키클럽 퀴즈 (오전 10시)

정답: 목요일

에버콜라겐 퀴즈 (오전 10시)

정답: 콜라겐

질유산균 퀴즈 (오후 2시)

정답: 지노마스터

카무트효소 퀴즈 (오후 2시)

정답: 골드카무트효소

캐시워크 돈버는퀴즈

LG전자 베스트샵 퀴즈

정답: 400

돈버는미션 AI홈헬스 퀴즈

정답: 운동계획

소휘 애사비 구미 퀴즈

정답: 물엿

다른 정답: 말티톨, 젤라틴, 스파이크

신한은행 퀴즈

정답: 3

네이버플러스 퀴즈

정답: 매일

앱스토리몰 모스아웃 퀴즈

정답: 리튬폴리머

다른 정답: 4, 초저소음, 집중모드, 특수초음파

제나벨 선크림 퀴즈

정답: 지속내수성

신한은행 처음크루 퀴즈

정답: 하이파이브

앱스토리몰 픽스 파리모기채 퀴즈

정답: 충전식

다른 정답: 수면, 흡착, 안전망, 자동살충

픽스 헤어드라이기 퀴즈

정답: 디스플레이

다른 정답: 50, 390, BLDC, 110000

인버브 근육관절패치 퀴즈

정답: 주름들뜸

YELO 손선풍기 퀴즈

정답: 충전

공스킨 퀴즈

정답: 줄기세포

크린포유 쿨매트 퀴즈

정답: 쿨링티

쏠퀴즈 정답

신한SOL뱅크 쏠퀴즈

정답: 7월 2일 오후 2시

신한SOL페이 퀴즈팡팡

정답: 무료

신한슈퍼SOL 출석퀴즈

정답: 5시

읽을거리/역사

중국 대약진운동의 참상: 농민을 위한 정책이 초래한 수천만 명의 아사

by 남조선 유랑민 2025. 3. 16.
반응형

중국 대약진운동의 참상: 농민을 위한 정책이 초래한 수천만 명의 아사

 

🌾 [세계 경제사] 1957년 말부터 시작된 마오쩌둥의 '대약진운동'이 어떻게 중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재(人災)로 이어졌는지 알아봅니다.

티비에서 설명하는 대약진운동

🚜 농민의 나라, 중국의 혁명

한국전쟁 당시 맥아더가 중국군을 '농민군'이라고 부른 것은 단순한 경멸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중국 혁명의 본질이 농민 반란이라는 사실을 정확히 이해했던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였습니다. 중국 공산당과 마오쩌둥의 혁명은 도시 노동자가 아닌 농민들의 지지를 기반으로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1921년 상하이에서 중국 공산당이 창당될 당시부터 마오쩌둥은 소련의 영향 아래 있었습니다. 스탈린은 마르크스주의 교리에 따라 프롤레타리아트(노동자) 중심의 혁명을 강조했지만, 마오는 중국의 현실에서 농민의 중요성을 직시했습니다.

마오 자신도 농민 출신이었고, 중국 혁명의 진정한 동력이 농민임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신중국의 미래 역시 농민에게 달려 있다고 믿었습니다.

📈 대약진운동의 시작: 경쟁과 자존심

1953년 스탈린의 사망 이후, 마오는 소련의 간섭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 흐루쇼프가 이끄는 소련을 더 이상 스승으로 여기지 않고 경쟁자로 바라보게 된 것입니다.

흐루쇼프가 "15년 안에 미국을 따라잡겠다"고 선언하자, 마오는 같은 기간 내에 영국을 넘어서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이것이 1957년 말 시작된 '대약진운동(大躍進運動)'의 촉발점이었습니다.

중국의 자본은 인구

신생 중국의 진정한 자본은 정확한 숫자조차 알 수 없는 거대한 인구, 특히 농민이었습니다. 마오의 계획은 단순했습니다:

  1. 농한기(春耕期 전)에 농민들을 동원해 대규모 관개사업을 성공시킨다
  2. 농촌이 풍요로워지면 이 인력을 공업으로 전환한다

그 결과 1958년 1월, 중국에서는 여섯 사람 중 한 사람이 땅을 파는 거대한 토목공사가 진행되었습니다.

🏭 숫자만 대약진한 경제개발

거품 목표와 충성 경쟁

대약진운동의 가장 큰 문제점은 목표치를 놓고 지방정부와 관리들이 벌인 충성 경쟁이었습니다. 이는 '숫자의 대약진'을 낳았습니다.

1958년 2월 허난성의 헥타르당 밀 수확 목표량은 5,200kg이었습니다. 이 수치는 점점 부풀어올라 연말에는 헥타르당 37.5톤이라는 터무니없는 수치에 도달했습니다. 매일같이 기록을 경신하는 보고서가 올라왔고, 마오는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는 서류상의 잉여 생산물을 어떻게 써야 할지 고민했습니다.

철강 생산도 비슷한 상황이었습니다. 대약진운동 이전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535만 톤이었으나, 1958년 초 목표는 620만 톤으로 설정되었습니다. 그해 말에는 이 목표가 1,200만 톤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 비현실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농민들은 멀쩡한 농기구까지 용광로에 던져 넣었습니다.

실패한 거대 프로젝트들

대약진운동의 실패 사례는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1. 관개사업: "3년 고생하면 1만 년 행복하다"는 슬로건 아래 1억 5천만 위안이 투입되고, 노동 일수는 60만 일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1962년 프로젝트가 폐기될 때까지 얻은 관개 토지의 총면적은 0헥타르였습니다. 서둘러 일을 진행하다 보니 사방에서 계산 착오가 발생한 것입니다.
  2. 철강 생산: 마을마다 제철소를 건설한다는 대담한 계획 하에 전국에 50만 개의 '홈메이드 용광로'가 세워졌습니다. 하지만 아무 쇠나 녹여서 굳히면 강철이 된다는 잘못된 생각으로, 실제로는 쓸모없는 '똥쇠'가 생산되어 산업에 투입되었고 대량의 불량품이 양산되었습니다.
  3. 인민공사: 가장 파괴적인 정책은 중국을 거대한 집단 공동체로 만들려 한 '인민공사' 제도였습니다. "담요 한 장 빼고 모든 것이 공동 소유가 된다"는 소문에 농민들은 자신의 가축을 잡아먹고 저축을 헐어 물자를 낭비했습니다. 나중에는 씨앗 종자까지 먹어 치웠는데, 이는 수천 년 중국 농업사에 유례없는 일이었습니다.

💀 기아의 그림자: 대약진운동의 비극적 결과

대약진운동의 결과, 중국 전역에 굶주림이 일상이 되었습니다.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약 5년 동안, 한국 전체 인구에 육박하는 수천만 명의 사람들이 기아로 인해 목숨을 잃었습니다.

농민을 위해 벌인 사업들이 역설적으로 농민들에게 살인적인 해를 끼친 것입니다. 이는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인재(人災) 중 하나로 기록됩니다.

더욱 비극적인 것은 이 재앙이 순전히 정치적 야심과 이데올로기적 광기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입니다. 마오쩌둥은 흔히 "중국을 세우고 또 혼자서 중국을 망가뜨린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대약진운동으로 세상을 황폐하게 만든 후, 문화대혁명으로 중국 사회를 다시 한번 뒤흔들었기 때문입니다.

👨‍🌾 현대 중국의 농민: 여전한 고통

대약진운동의 실패 이후 수십 년이 지났지만, 중국 농민들의 삶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1995년 기준 중국의 농업인구는 8억 6천만 명으로, 당시 세계 인구의 무려 15%가 중국 농민이었습니다. 2005년 기준 이들의 연평균 소득은 우리 돈으로 약 40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이러한 빈곤으로 인해 많은 농민들이 고향을 떠나 도시로 이주했고, 이들 '농민공(農民工)'의 수는 약 3억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들의 하루 품삯은 2만 원 안팎에 불과하며, 생활고로 인해 매혈까지 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라는 중국의 위상이 무색해지는 대목입니다. 이는 우리에게 국가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최소한 그것은 국민의 기본적인 삶과 복지를 외면한 채 국제사회에서 군사 패권 경쟁을 벌이는 일은 아닐 것입니다.

📊 대약진운동의 교훈

대약진운동은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경제적 현실을 무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재앙의 규모를 보여줍니다. 이 역사적 사건은 다음과 같은 교훈을 줍니다:

  1. 현실에 기반한 정책의 중요성: 이상적인 목표보다는 달성 가능한 현실적 목표 설정이 중요합니다.
  2. 통계와 데이터의 진실성: 거짓 정보와 과장된 통계는 재앙적인 정책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경제 발전의 속도와 질: 빠른 성장만을 추구하기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이 중요합니다.
  4. 국민 복지의 우선순위: 국가의 가장 중요한 의무는 국민의 기본적인 삶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역사는 종종 반복된다고 합니다. 대약진운동의 역사를 기억하고 교훈을 얻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유사한 실수와 비극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일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