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테크 퀴즈정답
2025-06-30

캐시닥 용돈퀴즈

LG전자 베스트샵 퀴즈

정답: 400

컷슬린 퀴즈

정답: 여행

다른 정답: 롤러, 끈적임

리비힐 앰플 퀴즈

정답: 안티에이징

다른 정답: 49000, 색소침착

빼소 퀴즈

정답: 한알

관절스타 퀴즈

정답: 관절건강

다른 정답: 7, 777, 2527

리비힐 크림 퀴즈

정답: 고영양

다른 정답: 트러블, 줄기세포

롯데온 랑콤 퀴즈

정답: 엑스퍼트

오퀴즈

오키클럽 퀴즈 (오전 10시)

정답: 목요일

에버콜라겐 퀴즈 (오전 10시)

정답: 콜라겐

질유산균 퀴즈 (오후 2시)

정답: 지노마스터

카무트효소 퀴즈 (오후 2시)

정답: 골드카무트효소

캐시워크 돈버는퀴즈

LG전자 베스트샵 퀴즈

정답: 400

돈버는미션 AI홈헬스 퀴즈

정답: 운동계획

소휘 애사비 구미 퀴즈

정답: 물엿

다른 정답: 말티톨, 젤라틴, 스파이크

신한은행 퀴즈

정답: 3

네이버플러스 퀴즈

정답: 매일

앱스토리몰 모스아웃 퀴즈

정답: 리튬폴리머

다른 정답: 4, 초저소음, 집중모드, 특수초음파

제나벨 선크림 퀴즈

정답: 지속내수성

신한은행 처음크루 퀴즈

정답: 하이파이브

앱스토리몰 픽스 파리모기채 퀴즈

정답: 충전식

다른 정답: 수면, 흡착, 안전망, 자동살충

픽스 헤어드라이기 퀴즈

정답: 디스플레이

다른 정답: 50, 390, BLDC, 110000

인버브 근육관절패치 퀴즈

정답: 주름들뜸

YELO 손선풍기 퀴즈

정답: 충전

공스킨 퀴즈

정답: 줄기세포

크린포유 쿨매트 퀴즈

정답: 쿨링티

쏠퀴즈 정답

신한SOL뱅크 쏠퀴즈

정답: 7월 2일 오후 2시

신한SOL페이 퀴즈팡팡

정답: 무료

신한슈퍼SOL 출석퀴즈

정답: 5시

로또 번호 추첨기

행운의 번호를 뽑아보세요!

번호 추첨 중...

당첨 번호
통계
가장 많이 나온 숫자
-
가장 적게 나온 숫자
-
최근 추첨 기록
추첨 기록이 없습니다.
읽을거리/역사

시간을 가둔 기계: 중국과 일본의 서양 시계 수용이 두 나라의 운명을 바꾼 이야기

by 남조선 유랑민 2025. 3. 16.
반응형

시간을 가둔 기계: 중국과 일본의 서양 시계 수용이 두 나라의 운명을 바꾼 이야기

 

[세계 경제사] 같은 시기에 전해진 유럽의 기계식 시계, 중국은 장난감으로 취급한 반면 일본은 분해하고 연구했습니다. 이 작은 차이가 두 국가의 현대화 과정과 운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봅니다.

🕰️ 시간을 바라보는 동서양의 시각

시간은 인간의 삶을 구분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동양과 서양은 시간을 인식하고 측정하는 방식에서 오랫동안 다른 길을 걸어왔습니다. 서양이 하루를 세밀하게 나누는 데 집중했다면, 동양은 달의 주기와 계절의 변화에 더 주목했습니다.

유럽에서는 13세기 말부터 기계식 시계를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흥미롭게도 이 시기는 최초의 대포가 등장한 시기와 일치합니다. 이는 우연이 아닌, 금속 직공 계층의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였습니다. 초창기 시계 제작자들은 대포 주조공이기도 했으며, 자물쇠 제작도 겸했습니다. 시계와 대포라는 두 기계의 동시 출현은 유럽 근대화의 특징이자 앞으로 전개될 세계사의 예고편이었습니다.

🧧 중국의 시계: 장난감이자 금기품

시계에 담긴 문화적 의미

중국어에서 시계를 가리키는 단어는 '종(鐘)'으로, 발음은 '쫑'입니다. 이 발음은 '끝나다(終)'와 같아 불길한 의미를 가집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시계를 선물하는 것이 관계를 끝내자는 의미로 해석되어 금기시되었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은 장쉐량과 장제스의 일화에서도 드러납니다. 장쉐량은 50년이 넘는 연금 생활 중에 장제스에게 시계를 선물로 보냈습니다. 이는 지겨운 악연을 끝내자는 의미였지만, 장제스는 이를 낚싯대로 답하며 '아직 멀었으니 다 잊고 낚시나 하라'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서양 기술에 대한 무관심

16세기 서양 상인들이 아시아에 진출했을 때, 그들이 가져온 몇 안 되는 교역품 중 하나가 기계식 시계였습니다. 그러나 중국인들은 서양 시계와 천문학, 금속 세공의 연관성에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중국에게 기계식 시계는 단지 장난감이자 뇌물의 용도로만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렌즈 기술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유럽인들이 렌즈를 이용해 현미경, 망원경, 안경으로 발전시키는 동안, 중국인들에게 렌즈 역시 장난감에 불과했습니다.

이러한 무관심은 중국의 자기중심적 세계관과도 관련이 있었습니다. 자신들이 세상의 중심이라고 여겼기에 변방의 기술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또한 달의 주기로 시간을 측정하는 농경사회에서 하루를 세밀하게 나누는 시계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습니다.

🗾 일본의 시계: 과학기술 발전의 촉매제

적극적인 기술 수용

일본에 유럽의 기계식 시계가 처음 전해진 것은 1550년으로, 한 서양인 신부가 야마구치의 다이묘(영주)에게 선물로 증정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중국과 달리 일본인들은 이 낯선 기계를 단순히 감상하는 데 그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시계를 뜯어보고, 작동 원리를 파악한 후, 자체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일본의 시계 제작자들은 주로 솜씨 좋은 대장장이들이었는데, 이는 유럽의 시계 제작자들이 금속 직공 출신이었던 것과 같은 발전 경로를 보여줍니다.

기술 혁신의 씨앗

일본인들의 이러한 적극적인 기술 수용과 연구는 단순히 시계 제작 기술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정밀 기계를 이해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력과 과학적 사고방식은 후에 일본의 근대화와 산업화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습니다.

서양 기술에 대한 일본의 개방적 태도와 적극적인 연구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일본의 급속한 산업화와 군사력 강화로 이어졌습니다. 이는 결국 인구 1억 5000만 명의 중국이 2500만 명에 불과한 일본에게 패배하는 역사적 사건으로 이어졌습니다.

🌏 두 나라 운명의 갈림길

기술 수용 태도의 차이

중국과 일본의 서양 기술 수용에 대한 태도 차이는 단순한 문화적 호기심의 차이를 넘어, 두 나라의 근대화 과정과 국제적 위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중국은 '천하중심' 사상에 기반하여 서양의 기술을 단순한 호기심거리로 치부했고, 그 가치와 잠재력을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반면 일본은 실용적인 관점에서 서양 기술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응용했습니다.

근대화의 속도 차이

일본은 1868년 메이지 유신을 통해 빠르게 서구화와 근대화를 추진했고, 불과 몇 십 년 만에 아시아의 군사・경제 강국으로 부상했습니다. 반면 중국은 서구 열강과 일본의 침략에 시달리며 근대화가 지체되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20세기 초반 두 나라의 국제적 위상에 명백하게 드러났습니다. 일본은 러일전쟁(1904-1905)에서 승리하며 세계 강국의 반열에 올랐고, 중국은 계속되는 내분과 외세의 침략으로 고통받았습니다.

💡 작은 차이가 만든 큰 결과

작은 기계장치에 대한 두 나라의 상반된 접근 방식은 역설적으로 거대한 역사적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시계라는 '시간을 가둔 기계'에 대한 태도는 두 나라가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게 될지를 어느 정도 예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한 국가의 근대화와 발전은 단일 요소로 설명할 수 없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그러나 서양 기술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는 분명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습니다.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중국과 일본이 보여준 상반된 궤적은, 외부 문화와 기술을 어떻게 수용하고 응용하느냐가 한 국가의 운명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오늘날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새로운 기술과 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할 것인지는 여전히 중요한 화두입니다. 시계를 장난감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기회의 씨앗으로 볼 것인가? 그 선택이 우리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