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테크 퀴즈정답
2025-06-30

캐시닥 용돈퀴즈

LG전자 베스트샵 퀴즈

정답: 400

컷슬린 퀴즈

정답: 여행

다른 정답: 롤러, 끈적임

리비힐 앰플 퀴즈

정답: 안티에이징

다른 정답: 49000, 색소침착

빼소 퀴즈

정답: 한알

관절스타 퀴즈

정답: 관절건강

다른 정답: 7, 777, 2527

리비힐 크림 퀴즈

정답: 고영양

다른 정답: 트러블, 줄기세포

롯데온 랑콤 퀴즈

정답: 엑스퍼트

오퀴즈

오키클럽 퀴즈 (오전 10시)

정답: 목요일

에버콜라겐 퀴즈 (오전 10시)

정답: 콜라겐

질유산균 퀴즈 (오후 2시)

정답: 지노마스터

카무트효소 퀴즈 (오후 2시)

정답: 골드카무트효소

캐시워크 돈버는퀴즈

LG전자 베스트샵 퀴즈

정답: 400

돈버는미션 AI홈헬스 퀴즈

정답: 운동계획

소휘 애사비 구미 퀴즈

정답: 물엿

다른 정답: 말티톨, 젤라틴, 스파이크

신한은행 퀴즈

정답: 3

네이버플러스 퀴즈

정답: 매일

앱스토리몰 모스아웃 퀴즈

정답: 리튬폴리머

다른 정답: 4, 초저소음, 집중모드, 특수초음파

제나벨 선크림 퀴즈

정답: 지속내수성

신한은행 처음크루 퀴즈

정답: 하이파이브

앱스토리몰 픽스 파리모기채 퀴즈

정답: 충전식

다른 정답: 수면, 흡착, 안전망, 자동살충

픽스 헤어드라이기 퀴즈

정답: 디스플레이

다른 정답: 50, 390, BLDC, 110000

인버브 근육관절패치 퀴즈

정답: 주름들뜸

YELO 손선풍기 퀴즈

정답: 충전

공스킨 퀴즈

정답: 줄기세포

크린포유 쿨매트 퀴즈

정답: 쿨링티

쏠퀴즈 정답

신한SOL뱅크 쏠퀴즈

정답: 7월 2일 오후 2시

신한SOL페이 퀴즈팡팡

정답: 무료

신한슈퍼SOL 출석퀴즈

정답: 5시

읽을거리/역사

일본의 성공적 근대화와 조선의 실패: 같은 도전, 다른 대응

by 남조선 유랑민 2025. 3. 30.
반응형

일본의 성공적 근대화와 조선의 실패: 같은 도전, 다른 대응

 

🌊 두 나라의 다른 운명: 13년 차이가 만든 결과

19세기 중반, 서양 열강이 동아시아에 진출하던 시기에 일본과 조선은 비슷한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그러나 불과 13년이라는 시간 차이가 두 나라의 운명을 완전히 다르게 만들었습니다. 1853년 미국의 흑선(군함) 외교를 경험한 일본은 개항을 선택했고, 1866년과 1871년에 각각 프랑스와 미국 함대의 공격을 받은 조선은 쇄국을 고수했습니다. 결국 일본은 근대화에 성공했을 뿐 아니라, 나아가 1876년 조선을 강제 개항시키고, 1910년에는 식민지로 만들었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했을까요? 일본의 성공과 조선의 실패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19세기 조선

🏯 일본의 성공 요인: 다섯 가지 차별점

1. 유연한 이데올로기와 사상적 기반

일본은 조선과 달리 경직된 성리학적 세계관에 갇혀있지 않았습니다:

  • 전통신앙과 국학을 발전시켜 신도사상과 천황제 중심의 국가 정체성 유지
  • 불교가 '선(禪)'을 매개로 무사도와 결합, 실생활과 밀접한 사회사상 역할
  • 천황과 주군에 대한 충성, 의리와 명예를 중시하는 가치관

2. 적극적인 서양 문물 수용

일본은 일찍부터 서양과의 교류를 통해 세계를 배웠습니다:

  • 1582년 소년 사절단 유럽 파견
  • 1613년 센다이번 사절단의 태평양 횡단과 유럽 방문
  • 17세기 전반 동남아시아 지역 무역선 파견과 일본마을 건설

3. 난학(네덜란드학)을 통한 서양 과학기술 습득

일본은 네덜란드를 통해 서양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 지도 제작술, 조선술, 항해술, 무기, 천문, 의학, 농법 등 실용 지식 습득
  • 학교 설립을 통한 지식 확산과 국가 발전에 활용
  • 인본주의와 근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사상적 토대 마련

4. 전략적 개방을 통한 '반개방' 정책

일본은 표면적 쇄국에도 불구하고 전략적으로 세계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 네 개 항구(마쓰마에, 사쓰마, 대마도, 나가사키)를 선택적으로 개방
  • 나가사키 데지마를 통한 정보 수집과 무역 활성화
  • 유럽에 도자기 수출 및 '우키요에' 등 문화 교류
  • 번(藩)들의 독자적 밀무역 통한 경제 활동

5. 발전된 경제 기반과 상업 문화

일본은 근대 자본주의를 수용할 수 있는 경제적 토대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 농법과 농기구 개량으로 높은 농업 생산력 확보
  • 발달된 도로망, 수운, 해운으로 전국적 유통망 형성
  • 에도(100만 명), 오사카, 교토(각 40만 명) 등 대도시 발달
  • 상인 계층 성장과 새로운 경제 문화 형성

메이지 유신

📚 조선통신사: 놓쳐버린 기회

일본의 변화를 가장 가까이에서 목격한 조선통신사들은 1811년까지 12차례 일본을 방문하며 그 변화를 직접 목격했습니다. 그러나:

  • 오랑캐 국가라는 편견과 패전국에 대한 반감으로 객관적 관찰 부족
  • 성리학적 우월감에 사로잡혀 일본의 발전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함
  • 조엄 등 일부 선구자적 인물들의 노력에도 '남학(南學)'으로 발전시키지 못함
  • 귀국 후 견문을 조선 발전에 활용하지 못함

조선통신사 행렬

⚔️ 서양 열강의 도전과 일본의 대응

1853년 미국 함대가 일본에 접근하면서 본격적인 서양의 압력이 시작되었습니다:

초기 대응 (1853-1858)

  • 1853년: 미국 흑선 우라가 정박, 포함외교 시작
  • 1854년: '일·미 화친조약'(가나가와 조약) 체결
  • 1855년: '일·러 화친조약' 체결, 네덜란드에 군함과 장비 발주
  • 1857년: 발주한 군함 도착, 서양식 군사 훈련 시작
  • 1858년: '미·일 수호 통상조약' 및 네덜란드, 러시아, 영국, 프랑스와 '안세이 조약' 체결

적극적 학습과 저항 (1860-1866)

  • 1860년: 견미(見美) 사절단 파견
  • 1862년: 견구(見歐) 사절단 파견
  • 1863년: 견불(見佛) 사절단 파견, 사쓰마번과 영국의 3일 전쟁
  • 1864년: 조슈번과 4개국 연합함대의 시모노세키 전쟁
  • 1866년: 영국과 러시아에 유학생 파견

이러한 적극적 대응과 학습 노력에도 불구하고, 바쿠후(막부) 정권은 외세의 압력과 내부 모순으로 흔들렸습니다. 결국 1868년, 천황 중심의 메이지 유신이 일어나 근대 국가로 변모했습니다.

일본의 근대화

🌄 메이지 유신과 조선 침략의 씨앗

일본 근대화의 주역들은 조선 침략의 준비도 함께 진행했습니다:

  • 하기(萩)의 요시다 쇼인이 천황제 이데올로기 발전 및 팽창주의 주창
  • 쇼카촌숙(松下村塾)에서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등 후일 조선 침략 주체 양성
  • 메이지 유신 이후 부국강병 정책과 주변국 침략 추진, 조선을 첫 대상으로 설정

🕰️ 같은 시기 조선의 상황: 위기 속 내부 갈등

일본이 적극적으로 대응하던 같은 시기, 조선은:

  • 세도정치의 폐해로 국가 기반 약화
  • 1860년 집권한 대원군, 개혁정치보다 권력투쟁에 집중
  • 1865년 국고를 고갈시키는 경복궁 중수 사업 시작
  • 천주교의 문명사적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박해
  • 1866년 병인양요, 1871년 신미양요 이후에도 승전으로 호도하며 권력 강화에만 이용

📊 역사적 교훈: 같은 도전, 다른 선택

일본과 조선의 대조적인 근대화 과정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1. 세계 정세를 읽는 능력의 중요성: 일본은 세계 정세를 정확히 읽고 대응했으나, 조선은 그러지 못했습니다.
  2. 유연한 사고와 실용주의의 가치: 일본은 실용적 관점에서 서양 문물을 수용했으나, 조선은 이념적 경직성에 갇혔습니다.
  3. 선택적 개방의 지혜: 일본은 완전한 쇄국 대신 전략적인 '반개방' 정책을 택했습니다.
  4.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 일본은 서양의 지식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배웠으나, 조선은 그러한 기회를 놓쳤습니다.
  5.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능력: 일본은 서양의 압력을 근대화의 계기로 삼았으나, 조선은 이를 거부하며 기회를 상실했습니다.

만약 조선의 지식인들이 현실과 백성을 생각하며 개방을 개혁과 발전의 기회로 삼았다면, 역사는 달라졌을까요? 이 질문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