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록펠러: 미국 경제의 근간을 세운 석유 재벌
존 D. 록펠러는 1937년 사망 당시 14억 달러(현재 가치 약 42조7000억 원)의 재산을 보유한 미국 최고의 부호였습니다. 철강왕 카네기와 함께 미국 경제의 기반을 닦은 록펠러는 석유 산업의 90%를 장악했으며, 그의 자산은 당시 미국 GDP의 1.5%에 달했습니다. 그의 독점적 사업 방식은 결국 반독점법 제정의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현대 미국 경제의 토대를 형성했습니다.
💰 부의 개념: 충분한 돈이란 무엇인가?
자유를 계량화한 돈의 의미
게오르그 짐멜의 『돈의 철학』에서는 돈을 가치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며 "경제적 가치의 최상의 구현체이자 가장 순수한 표현"이라고 정의합니다. 화폐는 단순한 교환 수단을 넘어 개인의 자유를 가져다주는 도구입니다. 돈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을 자유,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있는 자유를 계량화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영원히 부자가 되기 힘든 이유
부자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고객들은 부자의 기준을 109억 원으로 생각했습니다. 흥미롭게도 부자의 기준은 자신의 소득에 따라 달라지는데, 월 소득 100만 원 이하는 1억 원, 월 소득 500만 원 이상은 10억 원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런 논리라면 사람은 영원히 부자가 될 수 없습니다. 록펠러도 '얼마나 있어야 충분하냐'는 질문에 "조금 더(Just a little more)"라고 대답했습니다.
🏛️ 역사 속 최고의 부자들
고대 로마의 크라수스
역사상 최고의 부자로 평가받는 크라수스는 카이사르, 폼페이우스와 함께 로마 삼두정치를 이끌었습니다. 그의 재산은 죽기 직전 1.7억 세스테르티우스에 달했으며, 로마인의 절반이 그에게 빚을 졌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크라수스는 탐욕을 못 이겨 파르티아로 원정을 떠났다가 패배해 죽음을 맞이했는데, 파르티아 병사들은 그의 입에 녹인 금을 부어 탐욕을 조롱했다고 합니다.
현대의 부자들
전 세계 역대 부자 10위 중 8명이 18세기 이후의 인물들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록펠러의 305억 달러는 오라클 설립자 래리 앨리슨의 2360억 달러에 비하면 적게 느껴질 수 있지만, GDP 대비 비율로 따지면 일론 머스크(GDP의 1.6%)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 록펠러의 두 얼굴: 냉혈한 사업가와 자선가
성공의 비결
록펠러의 성공은 석유라는 '영물'에 대한 동물적 감각과 뛰어난 기업가 정신의 결합이었습니다. 그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경쟁자를 몰락시키는 냉혈한 사업가라는 평가와 함께, 통 큰 자선 사업가라는 상반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놀라운 자선 활동
록펠러는 '자유주의 경제학의 산실'로 불리는 시카고대학을 설립했으며, 수많은 교회를 지원했습니다. 현재 뉴욕 시민들이 상수도 요금을 내지 않는 것도 록펠러가 사후 100년 동안 이를 대납해주라고 유언했기 때문입니다. 검소를 넘어 청빈에 가까운 생활을 했던 그의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따끈한 우유에 적신 빵이었습니다.
한국과의 인연
록펠러와 한국의 인연도 주목할 만합니다. 그가 세운 스탠더드 오일의 재무 이사였던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Louis Henry Severance, 루이스 헨리 세브런스)는 자금난에 시달리던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 제중원에 거액을 지원했습니다. 이것이 오늘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이름의 기원입니다.
💡 돈과 행복의 관계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돈과 행복의 관계는 무시할 수 없습니다. "돈이 들어온다고 행복이 찾아오진 않지만, 돈이 나가면 행복도 같이 나가 버린다"는 말처럼, 우리의 돈에 대한 인식이 인생을 바꿀 수 있습니다. 록펠러의 삶은 부와 권력, 그리고 자선과 나눔의 균형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 확인학습 문제
다음 중 록펠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록펠러는 사망 당시 미국 GDP의 약 1.5%에 해당하는 재산을 보유했다.
② 록펠러가 설립한 스탠더드 오일의 재무 이사였던 세브란스는 한국의 제중원을 지원했다.
③ 록펠러는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기며 호화로운 식사를 즐겼다.
④ 록펠러의 석유 산업 독점은 미국의 반독점법 제정 계기가 되었다. ⑤ 록펠러는 시카고대학 설립에 기여했다.
정답 및 해설
정답: ③
록펠러는 검소를 넘어 청빈에 가까운 생활을 했으며,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따끈한 우유에 적신 빵이라는 소박한 음식이었습니다.
①번은 록펠러의 재산이 당시 미국 GDP의 1.5%에 달했다는 것이 맞습니다.
②번은 스탠더드 오일의 재무 이사였던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가 제중원에 거액을 지원했다는 사실이 맞습니다.
④번은 록펠러가 석유산업의 90%를 장악하면서 반독점법이 탄생했다는 내용이 맞습니다.
⑤번은 록펠러가 시카고대학을 설립했다는 내용이 맞습니다.
'읽을거리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의 등거리 외교 전략: 식민지 위기에서 살아남은 땅의 지혜와 대가 (8) | 2025.03.16 |
---|---|
로스차일드의 석유 전략: 러시아 수송로를 장악하며 노벨가문을 밀어낸 금융 제국의 비밀 (17) | 2025.03.14 |
📚 [삼국지 인물 리뷰] 간손미(簡孫糜): 삼국지의 숨은 주역들 (16) | 2025.03.04 |
📍길쭉한 나라들의 특별한 삶: 칠레, 노르웨이, 베트남의 독특한 지리적 특성 (142) | 2025.03.02 |
📚역사는 왜 배워야 할까? 취미로서의 역사 공부가 주는 즐거움 (37) | 2025.03.02 |